평화의 종교가 가르치는 것.....거짓말(Taqiyya and Kitman)
관련링크
본문
질문:
무슬림들은 거짓말하는 것이 허용되는가?
요약된 해답:
무슬림 학자들은 거짓말의 목적이 “차이점을 매끄럽게”하는 것이 아니라면 무슬림들이 서로 간에 통상적으로 진실하여야 한다고 가르친다.
특정한 상황에서 불신자들에게 거짓말하는 것이 허용되는 타끼야(taqiyya)와 키트만(kitman)이라는 두 가지 형태의 거짓말이 있다.
꾸란:
꾸란 (16:106) -무슬림들이 거짓말하도록 “강요”할 수 있는 상황을 설정한다.
꾸란 (3:28) - 이 구절은 “자신을 보호하는”것이 아니라면 무슬림들이 이슬람을 불신자들을 친구로 택할 수 없다고 말한다.
꾸란 (9:3) - “...알라는 불신자들에 대한 책임이 없으며 그분의 선지자도 마찬가지라....” 메카 점령이후 메카에 남아 있는 이교도들과 맺은 협정 파기. 그들은 잘못한 것이 없었지만 어째든 추방되었다.
꾸란 (40:28) - 한 남자가 믿는 자로 소개되지만 믿지 않는 자들 가운데 “자신의 믿음을 숨겨야”하는 자였다.
꾸란 (2:225) - “알라는 너희의 맹세 속에 비의도적인 것에 대해서는 책망하지 아니하시나 너의 마음속에 있는 의도적 맹세는 책망하시니라” 이 구절의 상황은 결혼인데 이 구절은 샤리아 법이 배우자들이 더 큰 좋은 것을 위해서 서로 거짓말하는 것을 허용하는 이유를 설명해준다.
꾸란 (66:2) - “알라께서는 너희가 한 맹세의 파기에 대하여 속죄하는 것을 허락하셨노라”
꾸란 (3:54) - “저들(불신자들)이 음모를 꾸미나 알라께서 (그들에 대항하여)음모를 꾸미니 알라는 음모를 꾸미는 자들 가운데 가장 잘 꾸미는 분이십니다” 여기서 “음모”로 사용된 아랍어는 “makara”인데 이 단어는 문자적으로 속임수를 의미한다. 알라가 불신자들을 속인다면 무슬림들이 속이는 것이 허용된다는 것을 부인할 근거가 없다.(또한 8:30과 10:21을 보라)
이러한 구절들을 전체적으로 보면 무슬림들이 보다 큰 목적을 위하여 다른 사람들을 속이는 것이 “강요”될 수 있는 상황이 있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하디스에서:
Bukhari (52:269) -“선지자가 ‘전쟁은 속임수이다’라고 말하였다” 이 하디스의 배경은 무함마드가 그들에게 안전한 길을 “보장한”후에 무함마드의 부하들이 Usayr ibn Zarim와 비무장한 30명의 그의 부하들을 살해한 사건으로 생각된다(아래의 추가 설명을 보라).
Bukhari (49:857) - “좋은 정보 만들어 내거나 또는 좋은 것을 말하여서 사람들 사이에 평화를 만드는 자는 거짓말쟁이가 아니다.” 목적이 수단을 정당화할 때 거짓말은 허용된다.
Bukhari (84:64-65) - 그 당시의 권력의 지위에서 말하자면 Ali는 거짓말은 “적”을 속이기 위하여 허용된다고 확인한다.
Muslim (32:6303) - “...그는 세 가지 경우를 제외하고 어떤 경우든지 사람들이 거짓을 말하는 것이 허용되지 않는다고 들었다: 전쟁에서와 사람들 가운데 화해를 위해서와 부인에게 하는 남편의 이야기와 남편에게 하는 부인의 이야기이다(그들 사이의 화해를 가져오기 위해서 왜곡된 형태로서).”
Bukhari (50:369) -무함마드가 고집했던 시인 Ka'b bin al-Ashraf 살해사건을 살펴보자. 그 암살을 자원하였던 사람들은 무함마드를 배신한 것으로 위장하면서 Ka'b의 신뢰를 얻기 위하여 속임수를 사용하였다. 이것이 희생자로 하여금 방어막을 내리게 하였고 자기 생명을 위한 거센 투쟁을 단념하였음에도 불구하고 그로인하여 그는 잔인하게 도살되었다.
이슬람법에서:
Reliance of the Traveler (p. 746 - 8.2) - “말하는 것은 목적물을 얻기 위한 수단이다. 칭찬할만한 목적이 진실과 거짓을 말하는 것 둘 다를 통하여 성취될 수 있다면 거짓을 통하여 성취되는 것은 적절하지 않은데 그렇게 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그러한 목적이 진실을 말하는 것이 아닌 거짓을 말함으로 성취하는 것이 가능할 때 그 목적을 달성하는 것이 허용된다면 거짓말하는 것이 허용되고 (설명: 즉 거짓말 하는 목적이 가능한 어떤 것을 하는 것을 막고 있는 누군가를 속이는 것일 때) 그 목적이 의무적이라면 거짓말하는 것이 의무적이다...모든 경우에서 오해될 수 있는 인상을 주는 말을 사용하는 것은 종교적으로 경계해야 한다....
거짓을 말하는 것에 의한 나쁜 결과들과 진실을 말하는 것에 의한 나쁜 결과들을 비교하여야 하며 진실을 말하는 것의 결과가 더 해롭다면 거짓을 말하는 것이 허용된다.
추가 설명들:
무슬림들은 불신자들을 패배시키기 위해서 그들에게 거짓말하는 것이 허용된다. 두 가지 형태가 있다:
타끼야(Taqiyya) - 진실이 아닌 것을 말하는 것이다.
키트만(Kitman) - 부작위에 의하여 거짓말하는 것이다. 무슬림 옹호자들이 꾸란 5:32(살해했다면 “그것은 모든 백성을 살해하는 것과 같으며”)의 일부분만을 인용하며 “부패”와 “해악”에 관하여 불분명한 경우에 살인을 명령하는 나머지 구절(그리고 그 다음 구절)을 언급하지 않는 경우가 한 예가 될 것이다.
타끼야라는 명칭으로 호칭되지 않았지만 무함마드가 정복을 위해서 자신의 힘을 은밀하게 준비하면서 메카에 접근할 수 있게 해주는 10년간의 협정을 메카인들과 맺었을 때 그는 분명히 속임수를 사용하였다. 2년 후에 무함마드는 그 협정을 파기하고 쉬운 방법으로 예상하지 못하고 있던 주민들을 정복하였고 무함마드의 말을 믿었던 메카 사람들 가운데 일부가 처형되었다.
무함마드가 평화를 추구하는 것으로 가장하여 개인적인 그의 적들이 방어막을 내리게 속이고 그들을 살해하는 기만술을 사용한 경우는 또 다른 거짓말의 예이다. 이 속임수는 Ka'b bin al-Ashraf (전에 설명하였다)의 경우에 사용하였고 나중에 다시 무슬림들에 의하여 메디나의 그들의 고향에서 퇴거되었던 Banu Nadir 부족의 생존하였던 지도자 Usayr ibn Zarim에게 사용하였다.
그 당시에 Usayr ibn Zarim는 Quraish(이 부족에 대하여 무함마드는 이미 전쟁을 선포하였다)족과 연합한 한 부족 안에서 부터 무슬림들에 대항할 군대를 모으려고 시도하고 있었다. 무함마드의 “사자들”이 ibn Zarim에게 와서 평화협정에 관하여 이야기하기 위해서 메디나에서 이슬람의 선지자를 만나는 구실로 그의 안전지대를 떠나도록 설득하였다. 안전한 길을 보장받았으므로 그들 대부분이 무장을 하는 않는 잘못된 판단으로 일단 공격당하기 쉬운 상태가 되자 그 지도자와 30명의 부하들은 무슬림들에 의하여 쉽게 집단학살 되었다.
무슬림들에 관한 평가가 이와 같이 거짓말하고 이어서 살해하는 것이기에 “이슬람을 받아들인” 자들조차도 완전한 안전감을 느낄 수 없다. Jadhima의 운명이 이에 관한 비극적인 증거이다. 무슬림 “선교사들”이 그들의 부족에 접근하였을 때 그들 가운데 한 명이 비록 자신들이 그러한 죽음을 피하기 위하여 이슬람으로 이미 “개종”하였어도 살해될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그러나 다른 사람들은 자신들이 저항만하지 않는다면 자신들이 다치지 않을 것이라는 무슬림 지도자의 약속을 자신들이 믿을 수 있다고 확신하였다. (의심하던 자가 그의 무기를 내려놓도록 확신시킨 다음에 그 부족의 비무장한 남자들을 신속하게 묶고 참수하였다 - Ibn Ishaq 834 & 837).
오늘날 무슬림들은 종종 그들의 행동으로 협정을 파기하였다고 말하면서 메디나에서 무함마드가 시인과 자신을 비방하였던 사람들을 살해한 것을 정당화한다. 그러나 이 똑같은 옹호자들은 무슬림들에 의하여 파기된 협정들에 대하여는 거의 가치를 두지 않는다. 무함마드로부터 사담 후세인까지 비-무슬림에 대하여 만들어진 약속들은 무슬림들의 마음자세 안에서 절대로 얽매이지 않는다.
아랍세계의 지도자들은 일상적으로 영어를 말하는 사람들에게 한 가지를 말하고 이어서 아랍어를 말하는 자신들의 사람들에게 완전히 다른 것을 말한다. Yassir Arafat는 서방세계 신문들에게 이스라엘과의 평화를 위한 자신의 바람에 관하여 말하고 이어서 뒤돌아서서 유대인들에 대하여 증오가 가득차고 폭력적인 말들을 팔레스타인 사람들에게 속삭거린 것으로 유명하다.
9.11 납치범들은 자신들이 지하드를 꾸미는 근본주의자들이라는 의심의 가능성을 없애려고 바에 가서 술을 마시는 속임수를 사용하였다. 사실상 이 시도는 잘 먹혀들어서 9.11사건이 일어난 몇 주 후에 미국의 유명한 TV 쑈 진행자인 John Walsh는 그들의 바에 간 것은 ‘위선’의 증거라고 말하였다.
93 정기항공편으로 부터의 송신은 납치범들이 곧 죽게 될 승객들에게 “비행기에 폭탄”이 있지만 “그들의 요구가 충족”되는 한 모두가 “안전할 것”이라고 말하고 있는 것을 기록하였다. 명백히 이러한 것들 가운데 어떤 것도 사실이 아니었지만 이슬람에 매우 열심히 헌신되어 알라를 위하여(꾸란이 말하듯이) 기꺼이 살해하고 살해당하려고 하는 이 사람들은 대규모로 사람들을 죽이는 자신들의 임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타끼야를 사용하데 아무런 문제가 없었다.
Islamic Society of North America (ISNA)는 “ISNA는 무슬림 형제단과 현재 또는 지금까지 관련이 없으며 어떠한 감추어지고 불법적인 테러행위 또는 조직을 지원한 적이 없다”고 주장한다. 사실 ISNA는 무슬림 형제단에 의하여 만들어졌고 Hamas에 자금을 지원했다. 적어도 ISNA의 9명의 창설자들 또는 임원들이 테러를 지원한 혐의로 검사들에 의하여 기소되었다.
Fort Hood 집단살해와 디트로이트행 여객기를 폭파시키려는 시도와 같은 몇 가지 치명적인 테러음모를 꾸미기 전에 NPR, PBS 그리고 정부지도자들 까지도 이슬람의 평화스러운 본질을 듣기 위하여 미국인 이슬람 성직자 Anwar al-Awlaki를 정기적으로 찾았다.
진실함을 장려하는 꾸란의 구절과 신뢰할 수 있는 하디스가 거의 없다는 것이 놀라운 것임에도 많은 무슬림들은 자신들의 종교가 정직을 가르친다고 믿게 된다. 사실 그것은 많은 무슬림들이 아주 정직하다는 이 각인된 믿음 때문이다. 거짓말하는 것이 꾸란에서 언급되었을 때 그것은 거의 항상 “알라에 대한 거짓말들”과 관련이 있으며 무함마드가 선지자라는 주장을 거부하는 유대인들과 기독교인들과 관련이 있다.
마지막으로 무함마드가 배우자가 아닌 사람에게 믿는 자가 거짓말을 허용하는 배경은 이슬람의 명분을 촉진시키거나 무슬림이 자신의 안전을 위하여(그리고 아마도 다른 무슬림들의 안전을 위하여도) 피해를 피하는 사람들로 제한한다. 이란의 핵무기 보유의도와 같은 국제적 안전의 문제들을 다룰 때에 이것을 확실히 명심하여야 하지만 이것이 거리에서 또는 직장에서 개인적으로 만나는 무슬림 모두가 다른 모든 사람들 보다 정직하지 않다고 가정하는 근거는 아니다.
원문보기 http://www.thereligionofpeace.com/Quran/011-taqiyya.htm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