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이슬람지하드워치
하나님에 관하여

알라(Allah)의 딸들

작성자 워치독 작성일16-12-11 22:22 조회4,933회 댓글0건

본문

 

Q: 무함마드의 추종자들 대부분은 그들의 전통에서 카바의 돌로 된 최고의 우상신 알라(Allah)가 세 딸을 가졌다고 알려진 무함마드의 꾸란과 하디스들을 충분히 모른다.

 

그 사실을 설명해 주겠는가?

 

A: 그러한 계시들이 그들의 믿음에 나쁜 영향을 준다는 명백한 이유로, 무함마드의 사이비종교 기원에 관하여 배웠을지라도 소위 무슬림들 대부분은 거의 알지 못한다. 무함마드 이슬람의 종교적 그리고 정치적 지도자들이 관련되어 있는 한 그들 추종자들의 무지는 축복이다.

 

이제 이 주제에 관하여 있는 자료들을 살펴보자.

 

알 자힐리야(Al Jahiliyyah) 또는 무지의 시대라고 부르는 이슬람 도래 이전 시대에 아랍인들은 다신교도였으며 기본적으로 정령신앙이었다. 그들은 우물, 나무, 돌, 동굴, 샘 그리고 그 밖의 것들을 통하여 신과 접촉할 수 있다고 생각하였다.

 

메카에서, 알라카바신전의 돌로 된 최고의 우상신이었으며, 무함마드 부족인 꾸라이시(Quraysh)의 특별한 신이었다. 그는 로마의 주신인 Jove와 비슷하였다.

 

다신교도 아랍인들의 신전에서, 알라는 세 딸들을 가졌는데 알-우짜(Al-Uzza; Venus)는 가장 존중되었고 인신제사를 좋아하였고 별로 대표되었으며, 알-마나트(Al-Manat)는 운명이 여신이었고, 알-라트(Al-Lat)는 식물의 여신(the goddess of vegetable life)이었고 초생달로 대표되었다.

 

그들은 인간들과 그들의 아버지인 알라 사이의 중보자들로 활동하였다.

 

메디나아우스(Aus)카즈라이(Khazraj) 부족은 알-마나트를 가장 많이 숭배하였다. 그들의 주요 신당들이 메카의 북쪽과 동쪽에 있었지만, 알-라트, 알-우짜, 그리고 알-마나트를 메카 꾸라이시 부족이 모두 숭배하였지만, 대부분 그들은 알-마나트보다 알-라트 그리고 알-우짜를 훨씬 더 존중하였다.

 

꾸라이시무함마드가 소속된 부족이었고 이븐 알-칼비(Ibn al-Kalbi)는 무함마드가 그 자신의 메시지를 전파하기 전에 메카를 지키는 여신이며, 이슬람 이전에 알라의 세 딸들 가운데 가장 어린 알-우짜에게 흰 양을 제물로 한 번 드렸다고 말한다. 그녀는 새벽 별 금성이며 그녀의 이름은 “전능한 자”를 의미한다. 그녀는 아카시아를 닮은 나무에 거주한다고 사람들은 말한다.

 

이러한 것이 무함마드가 양육되었고 나중에 그가 없애버리는 것을 사명으로 믿게 되었던 다신교였다.

 

알라의 세 딸들인 알-우짜, 알-라트, 알-마나트는 나중에 무함마드 이슬람의 요람이 된 땅에 그들의 신전들을 가지고 있었다. 세력이 약한 시점에서, 유일신주의자 무함마드는 메카와 메디나의 이러한 강력한 신들을 인정하기로 유혹을 받았고 그들을 회유하기 위하여 타협을 하였지만 그는 나중에 이 “계시”를 철회하였고 이것에 관하여 사탄을 비난하였으며 대신에 현재 꾸란 53:19-20에 있는 형태를 받았다고 주장하였다.

 

나중에 신학자들은 이 사건을 나시크와 만수크(nasikh and mansukh; 폐기하고 폐기되는 구절들) 교리로 설명하였는데 이것에 의하여 알라는 자신이 발표한 뜻을 변경한다고 말하여지며, 이것은 한 구절을 취소하고 다른 것으로 대체하도록 만든다.

 

꾸란 2:106 우리가 이전에 계시한 계시를 취소하였거나 혹은 망각하게 했을 경우에, 그 이상 또는 그와 동등한 것을 주려하고 있다. 알라가 전지전능하시다는 것을 그대는 모르느냐?

 

***왜 알라는-알라가 아브라함, 모세, 예수의 전능하신 하나님과 같이 동일한 분이라면-처음부터 더 좋은 구절들을 계시하지 않았는가?

 

게다가 왜 그 이상 또는 동등한 것을 계시하는가?

 

단지 알라가 하나님이 아니기 때문에 이러한 폐기되고 폐기하는 구절이 나오는데, 그 이유는 그것들이 사실상 무함마드의 마음이 가진 것들이지 계시들이 아니기 때문이다.***

 

타바리, ⅵ: 108-109 “알라의 사도가 그의 부족이 그에게 등을 돌리고 그가 알라에게서 그들에게 가져온 메시지를 싫어하는 그들을 볼 때 슬펐고, 알라로부터 무언가가 그에게 와서 그가 그의 부족과 화해하기를 마음속에 바랐다.

 

그의 부족에 대한 그의 사랑과 그들이 잘되는 것에 대한 그의 바람을 생각할 때, 그들이 그에게 대하여 가진 어려움들 일부가 매끄럽게 된다면 그것이 그를 기쁘게 하였고, 그래서 그는 스스로 생각하였고 그러한 것이 나오도록 열렬히 바랐다.

 

그 다음 알라는 꾸란 53장을 계시하였고......그러나 그가 다음 구절에 도달하였을 때,

 

꾸란 53:19-20 ‘너희들이 알-라트 그리고 알-우짜 그리고 알-마나트, 세 번째와 그 밖의 것을 생각하였는가?’

 

사탄이 그의 입에 들어왔는데, 그 이유는 그에게 있어서 내부의 갈등과 그가 사람들에게 주기 원하는 것 때문이었는데, 그 말씀은

 

‘이들은 높이 나는 학들이라 진실로 그들의 중보는 기대가 되느니라.’

 

다신교도 꾸라이시 부족은 이것을 들었고 무함마드가 그들의 신들을 말하고 그에게 듣는 것에 기뻐하였으며, 한편으로 그가 알라에게서 가져온 메시지에 대한 존중으로 그들의 예언자를 완전히 신뢰하는 무슬림들실수, 망상 또는 오류로 그를 의심하지 않았다.

 

그 장을 끝낸 후 무함마드는 엎드렸고 무슬림들도 엎드렸다.......꾸라이시 다신교도들카바 신전에 있던 다른 사람들도 마찬가지로 그들의 신들에 대한 호의적인 언급 때문에 엎드렸고 그래서 모스크에 엎드리지 않은 사람은 믿는 자들이건 불신자들이건 아무도 없었다.....그리고 그들 모두는 모스크에서 나갔다. 꾸라이시 부족은 그들 신들에 대한 언급으로 기뻐하며 떠났다.“

 

이것은 의심할 여지없이 진실한 이야기인데, 왜냐하면 어떤 무슬림이 그러한 이야기를-유명한 “사탄의 계시들”의 하나를-만들어냈다고 상상하는 것은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이 하디스에서 가장 비난받았고 폭로된 것은-유일신주의자들로 알려진-무함마드와 그의 무슬림들 그리고 다신교도들이 360개 우상신들을 가지고 있는 카바 신전에 함께 엎드려 기도하였다는 주장이다.

 

고고한 학들”로 정확하게 우리는 무엇을 생각하는가? 무슬림 학자들은 우리와 마찬가지로 아랍어 gharaniq의 의미에 관하여 확실히 모른다.

 

그러나 그들이 확실히 아는 것은 다신교도 꾸라이시 부족이 카바 신전을 돌 때 외웠던 후렴이었다.

 

“알-라트, 알-우짜 그리고 알-마나트, 세 번째, 그 밖의 것, 진실로 이들은 고고한 gharaniq이니, 우리는 그들의 중보를 기대하자.”

 

무함마드를 모든 면에서 완벽한 예로 보는 후대 전통의 사람들이 의도적으로 아주 심각하게 타협하는 그들의 예언자에 관하여 한 이야기를 만들었다는 것은 생각도 할 수 없다. 그러므로 우리는 역사적인 전통의 핵심에 따라서 53장19절이 한 때 무함마드가 유일신 알라의 믿음에 심각하게 모순되는 것으로 느낀 의미로서 신들의 다신교 개념을 받아들였음을 의미하는 다른 말씀이었다.

 

저명한 무슬림 학자 알-수유티(Al-Suyuti)는 그의 Asbab al-Nuzul p.184에서 다음과 같이 말한다:

 

무함마드는 메카에 있었다. 그는 꾸란 53장을 읽었다. 그가 “너희들은 알-라트, 알-우짜, 그리고 알-마나트, 세 번째와 그 밖의 것을 아는가?”(wa Manat al-thalitha al ukhra)라고 말하였다. 사탄이 그의 입에 들어와 “이들은 고고한 우상들(알라의 딸들)이며 그들의 중보는 기대가 된다(tilka al-gharaniq al-'una wa inna shifa-atuhunnav la turtaja)."라고 말하였다. 불신자들은 무함마드가 그들의 신들을 좋은 말로 언급하였다고 말하였다. 그리고 그가 엎드렸을 때 그들도 엎드렸다.

 

위대한 수니파 해석학자 이븐 카디르(Ibn Kathir)는 비록 그가 이 보도의 정확성을 의심하지만 다음과 같이 말하였다:

 

Shaytan(사탄)이 사도의 말에 어떤 거짓말을 던졌고 알라가 그것을 취소하였다.”

 

사히 알-부카리, 볼륨 2:177(Ibn Abbas의 이야기)

 

예언자가 꾸란 53장을 낭송하는 동안 엎드렸고, 그와 함께 무슬림들, 다신교도들, 마귀들, 모든 인간들이 엎드렸다.

 

***청취자 여러분, 이 하디스는 모든 인간들이 그리고 모든 마귀들이 이 사건을 목격하였다고 말한다.

 

이 하디스는 유일신주의자라고 전해지는 위선자 무함마드가 카바신전이 여전히 다신교와 이교도의 중심이었던(360개의 우상들을 가지고 있었다) 22년의 전파기간 동안 카바신전에서 기도하고 엎드렸다는 것을 다시 말한다.***

 

많은 무함마드 전통주의자들이 그것을 이야기하는 많은 사람들을 언급하면서 이 이야기를 기록하였다. 그들 가운데 좀 더 알려진 사람들은 알-타바리(Al-Tabari), 이븐 아비 하팀(Ibn Abi Hatim), 이븐 알-문디르(Ibn Al-Mundhir), 이븐 마르도위야(Ibn Mardauyah), 이븐 이스학(Ibn Ishaq), 무사 이븐 우끄바(Musa ibn 'Uqba), 그리고 아부 무샤르(Abu Ma'shar)이다.

 

전통들에 관하여 인정된 권위자인 이븐 하자르(Ibn Hajar)가 이 보고의 진실을 주장하고 다음과 같이 말하는 것은 훨씬 더 이상하다:

 

“위에서 우리가 말하였듯이, 그것을 이야기하는 사람들 가둔데 3명이 진실한 보고의 조건들을 만족한다.”

 

무함마드가 사탄이 그의 입에 던진 말을 취소하고 알라에게서 새로 받은 계시를 말하였을 때, 꾸라이시 부족은 말하였다, “무함마드가 알라와 함께 우리 신들의 지위에 관하여 그가 말하였던 것을 후회하였고 그것을 변경하여 다른 것을 말하였다.”

 

사탄이 알라의 사도 입에 던진 그 두 구절들은 모든 다신교도들의 입에 있었고 그들은 알라의 사도에게 가르침을 받아 이슬람을 받아들인 사람들에 대한 박해에 더 반감을 품었고 폭력적으로 되었다.

 

그 날 저녁 가브리엘이 그에게 와서 그 장을 다시 알려주었다. 그가 사탄이 그의 입에 던진 그 두 구절들에 이르렀을 때 가브리엘은 “나는 당신에게 이 두 구절을 주지 않았다.”라고 말하였다.

 

그러자 알라의 사도가 말하였다, “내가 알라에 대하여 거짓을 말하였고 그가 말하지 않은 말들을 그가 말하였다고 하였다.”

 

믿는 자들과 불신자 쿠파르(Kuffar)들이여, 이 “사탄의 계시들”을 둘러싼 논란은 1,400년 이상동안 가장 많이 배운 이슬람 학자들의 마음을 무겁게 하였다. 알라와 함께 알라의 딸들을 연결시킴으로 무함마드의 쿠프르(kufr)-무함마드의 신성모독-를 사면하기 위한 그들의 복잡한 시도에서 무슬림 ‘전문가들’에 의하여 왜곡된 논리와 되지도 않은 설명들이 얼마나 많이 도입되었음에 상관없이 아랍어 기록들은 절대로 무시되거나 부인되지 않는다.

 

세력이 약할 때 무함마드는 그의 유일신주의를 타협함으로 다신교도 부족을 그의 종교로 인도하려하였으나 그 다음 취소하였고 자기 자신의 도덕적 그리고 영적인 연약함과 실패에 대하여 편리하게도 완전히 무고한 사탄을 비난하였다는 것을 무슬림 기록들은 입증한다.

 

결론을 말하자면 꾸란은 검은 돌이라고 부르며 카바신전의 벽 구석에 박혀있는 꾸라이시 부족의 최고의 우상신이며 사람들이 의심하지 않았던 알라의 입으로 교묘하게 표출된 무함마드 자신의 또 다른 자아로서 그의 증오, 그의 정욕, 그의 분노, 그의 시기심, 그의 필요와 그의 사상들이다.

 

내가 아는 한, 돌은, 검은 것이든, 운석이든, 보석이든 인간에게 계시들로 영감을 줄 수 없다.

 

이것이 내가 계속하여 무함마드의 꾸란이라고 말하는 이유인데 왜냐하면 무함마드가 꾸란의 저자이며 사실상 무함마드, 가브리엘, 사탄, 알라는 실제로 하나이며 동일한데 그 이유는 무함마드가 가브리엘과 알라를 그의 말에 하나님의 권위를 주기 위하여 도구들과 사람의 주의를 딴 곳에 쏠리게 하는 것들로 사용하였기 때문이다.

 

나는 또한 무함마드의 무슬림들이라고 말하는데 그 이유는 그들이 무함마드의 사이비종교를 따르기 때문이다.

 

무함마드의 이슬람종교가 아니며 단지 사이비 이단일 뿐이다.

 

옥스퍼드 사전에 종교하나님에 대한 믿음이다.

 

이단은 (스탈린, 레닌, 히틀러, 무함마드와 같은)한 인간을 믿고 모방하는 것이다.

 

무함마드가 완벽한 남성 인간을 대표한다고 전해지기 때문에, 무함마드의 꾸란과 하디스들은 특히 무함마드 이슬람의 남성들이 그의 순나를, 다시 말하자면 무함마드의 행동들, 생각들, 태도들과 사상들을 무조건 모방하라고 말하며 가르친다. 이것에 의하여 그리고 그 자체가 사이비종교를 나타낸다.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무함마드가 기독교인들, 유대인들, 조로아스터교인들, 다신교도 아랍인들경전들, 전통들 또는 미신들에서 표절하고, 해적질해오고, 훔쳐오거나 왜곡한 것과 동일하거나 우수하며, 새롭고 실용적이며, 영적이거나 도덕적인 개념, 관념, 생각, 사상이 꾸란 전체에서 하나도 없다는 것이다.

 

무함마드의 꾸란에서 단지 새로운 것들은 대부분 마귀에게 영감을 받은 꾸란의 페이지들에 스며있는 증오를 선동하며, 전쟁을 선동하고, 사람들을 차별하며, 여성들을 혐오하고, 악하며, 고통스럽고, 지옥을 묘사하는 엄청나게 많은 구절들이다.

 

자료출처 http://www.the-koran.blogspot.kr/2008/07/allahs-daughters-part-102.html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Total 21건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