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이슬람지하드워치
하나님에 관하여

2. 아라비아 영마(JINN) 종교에서 메카 사원의 역할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22-01-04 15:26 조회1,605회 댓글0건

본문

구조와 의식에 있어서 카바는 여러방면에서 아라비아 영마 종교의 사원들과 동일하다. 

 

아라비아인들은 거대한 영마를 의미하는 영마 마리드(Marid)를 위한 이름으로 그들이 “타굿(Taghut)”이라고 부르는 사원들을 가지고 있었다. 이후 영마의 쿠한은 “타굿”이라고도 호칭되었는데,[xxii][22] 타굿이 영마 종교의 사원이었음을 보여준다. 이슬람 시대 이전의 아라비아에 대하여 쓴 저자들은 메카의 카바와 타굿의 유사성에 대해 언급했다. 타굿은 내부에서 볼 때 카바와 같은 구조였고, 카바를 둘러싸고 돌았던 이교도 아라비아인들처럼 타굿 주변을 행진하는 것과 같은 동일한 의식을 가졌다.[xxiii][23] 이것은 우리에게 메카의 사원이 영마 종교의 다른 다양한 사원들과 결합된 타굿과 매우 비슷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의식과 구조에서 아라비아 스타 패밀리를 위해 지어진 사원과 영마 종교의 사원들 사이에는 유사성이 있었다. 영마의 쿠한이 스타 패밀리 숭배를 위해 지어진 대부분의 사원에서 종교적 기능을 관장하였으므로 이는 이해할 수 있다. 쿠한은 영마를 경배하는데 바쳐진 타굿 사원을 관리하는 것과 같은 방식으로 스타 패밀리 사원의 경배를 관리하였다. 메카 신전은 아라비아의 주요 이교도 종교의 예배를 실천한 아라비아의 사원들 가운데 하나였다.

    

영마의 두 사제 아사프와 나에라는 메카의 카바에 묻힌 것으로 추정된다. 카바는 부도덕한 의식의 장소였고, 이는 그것이 영마 종교의 성소였다는 생각을 뒷받침한다. 이슬람 이전 시대에 쿠한 가운데 일부의 무덤은 아라비아인들이 방문하여 복을 받는 신성한 장소가 되었다. 이교도 아라비아인들은 그들의 성소를 안전과 쉼터의 장소로 만들었다. 누구든지 성소에 들어가면, 그는 안전하게 되어, 아무도 그를 해칠 수 없었다.[xxiv][24] 이것은 메카 사원에서도 관찰되었다. 이는 카바가 원래 아사프와 나에라라는 두 쿠한이 묻힌 곳이었다는 것을 암시할 수 있다. 그 후 예멘의 부족들이 그곳에 사원을 지었고, 예멘 부족들이 받아들인 아라비아 스타 패밀리 예배와 영마 종교는 카바에 같은 목적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이슬람 이전 시대의 메카에 대하여 쓴 저자들은 오늘날 사탄교의 사원들에서만 행해지는 것들로서 카바에서 일어났던 의식에 대하여 말하였다. 예를 들어, 알-부카리(al-Bukhari)의 권위 있는 책에 따르면, 그들이 카바를 돌 때, 행진하는 사람들은 여성들을 포함하여 벌거벗고 있어야 했다.[xv][25] 또한 책 할라비에(Halabieh)에 따르면, 카바는 간음의 장소였다. 만약 누군가 간음을 하고 싶다면, 카바에서 그렇게 할 수 있었다.[xxvi][26] 이것은 마귀를 숭배하는 사원에서 일어난 간음을 떠올리게 하고, 아라비아의 영마 종교와 카바의 연계를 뒷받침하는 것이다. 우리에게 메카에 대해 말해주는 아라비아 저자들은 그 도시 여성들의 간음을 묘사한다.[xxvii][27] 카바의 이러한 부도덕함이 도시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메카의 카바에서 행해진 이교도적 관습의 역사는 메카가 진실하고 거룩한 하나님의 사원임을 배제하는데 왜냐하면 하나님은 사탄교와 어떤 형태의 주술도 반대하기 때문이다. 숭배된 우상들과 숭배된 돌들을 포함한 모든 의식과 의식을 주관한 인물들은 카바가 메카의 이교도 그리고 주술적 숭배의 지역적 표현이었다는 것을 입증한다. 이러한 오염은 중동에서든 아시아에서든 고대 세계에 알려진 어떤 이교도 사원에서 일어난 것보다 더 심했다. 이런 관습은 우리가 성경에 만나는 진정한 하나님에게 합당한 예배 성격의 흔적조차 가지 못하였다. 성경의 하나님 예배는 모든 이교적 뿌리를 드러낸다. 하나님 예배는 하나님께서 영감을 주시고 예언자들에게 주셔서 모든 세대를 통하여 보존되는 성경과 완전히 연합된다. 성경은 백성들이 하나님을 예배하는 모든 성소에서 존중되었고, 메카 사원에서는 역사상 어느 시점에서도 볼 수 없었던 것이다. 메카 사원에서 우리는 오직 주술과 이교적 스타 패밀리 전통만을 볼 수 있다. 어떻게 이슬람이 메카 사원이 역사를 통틀어 유일신교의 역사적 중심지였다고 주장할 수 있는가?

  

 

 

[i][1] Tafsir al-Tabari, 23, page 69

 

[ii][2] Tafsir al-Tabari, 23, page 69

 

[iii][3] Sahih al-Bukhari, 4, page 96

 

[iv][4] Al-Jaheth, al-Haiwan, 6, page 187; quoted by Jawad Ali, Al-Muffassal, vi, 723

 

[v][5] Sabuni, Safwat al-Tafasir, 2, page 270

 

[vi][6]  Al-Jaheth, Al Haiwan, 6, page 223; quoted by Jawad Ali, Al-Muffassal, vi, 723

 

[vii][7] Al-Tha'alibi, Abd al-Malik ibn Mohammed, Kitab Thimar al-qulub, pages 69 and 70

 

[viii][8] Halabieh 2, page 130

 

[ix][9] Sahih al-Bukhari, 5, page 227

 

[x][10] Halabieh 2, page 63

 

[xi][11] Taj Al Aruss, 9, page 165

 

[xii][12] Jeremy Black and Anthony Green, gods demons and symbols Ancient Mesopotamia, page 162

 

[xiii][13] Jeremy Black and Anthony Green, gods demons and symbols Ancient Mesopotamia, p. 88

 

[xiv][14] Alusi al-Baghdadi Mamud Shukri, Bulugh al-arab fi ma'rifat ahwal al-arab, 2, page 260

 

[xv][15] Alusi al-Baghdadi Mamud Shukri, Bulugh al-arab fi ma'rifat ahwal al-arab, 2, page 260; Maydaani, Majma' al-Amthaal, 2, page 81

 

[xvi][16] Maydaani, Majma' al-Amthaal, 2, page 81

 

[xvii][17]Tarikh al-Tabari, I, page 525

 

[xviii][18] Taj Al Aruss, 9, 410

 

[xix][19] Taj Al Aruss, I, pages 147 and 284

 

[xx][20] Taj Al Aruss, 9, page 165

 

[xxi][21] Al-Jaheth, Al Haiwan, 4, 203; quoted by Jawad Ali,vi, 726

 

[xxii][22] Raghib al-Isfahani, Abu al-Qasim al-Husayn ibn Muhammed, Mufradat al-Qur'an, page 307; al-Kalbi, al-Asnam, page 6; Taj al-Aruss, 10, page 225

 

[xxiii][23] Ibn Hisham I, page 64 ; Hamish Ala Al Rauth Al Anf, I, page 64; quoted by Jawad Ali, al Mufassal, vi, pages 401 and 402 

 

[xxiv][24] Jawad Ali, al-Mufassal,  vi, page 448

 

[xxv][25] Sahih al-Bukhari, 2, 164

 

[xxvi][26] Halabieh 1, page 15

 

[xxvii][27] Ibn Al Muja'wir, Descriptio, 1, 7; quoted by  Patricia  Crone, Meccan Trade,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87,  pages 106, 107

 

 

 

http://rrimedia.org/Resources/Articles/the-role-of-the-temple-at-mecca-in-the-jinn-religion-of-arabia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Total 21건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