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라와 꾸란의 기원
관련링크
본문
저자 Jake Neuman
우리는 이슬람을 단 하나의 비도덕적인 말씀으로가 아니며 단 하나의 도덕적인 악행으로가 아닌 4,000개의 사악한 가르침으로 부수었다. 그래서 이제 질문은 “누가 꾸란을 썼고 알라의 기원은 무엇인가?” 이다.
알라는 카바 신전의 360 신들 가운데 우두머리 신이었다. 알라는 아랍인들이 예언자 무함마드가 태어나기 여러 세기 전부터 숭배하였던 한 신의 이름이었다. 다신교도 아랍인들 가운데 “알라”라는 용어는 360개의 우상을 가지고 있었던 그들의 만신전인 카바 신전의 우두머리신의 명칭이다. “알라“라는 단어는 알-일라(al-ilah)에서 유래되었다. 아랍 베드윈족과 다신교도들은 무함마드가 태어나기 이미 오래전에 메카의 카바 신전에서 알라를 숭배하였다. 그러므로 이슬람은 ”알라“라는 용어를 다신교도였던 아랍족들에게 빚지고 있다.
예언자 무함마드는 아랍 이교도들로 하여금 (그들이 숭배한) 그 동일한 알라가 히라 동굴 또는 히라 산(이 산은 전혀 산이 아니다!)에서 자신과 이야기하였다고 믿게 만들었다. 그는 그들에게 오직 알라(유일신)만을 숭배하고 카바의 나머지 신들은 버리라고 요구하였다. 그러므로 이슬람은 그들의 신으로 이교도 아랍족들의 알라를 숭배하고 있다.
꾸란: 성 꾸란은 대부분 구약에서 베껴옴으로 만들어졌다. 이 두 성서에서 알라의 경향을 보자. 여러분은 그 유사성에 놀라게 될 것이다. 꾸란의 많은 구절들이 구약에서 유래되었다. 아랍의 많은 이교도 민간전승 이야기들과 신화들이 꾸란에 섞여있다. 많은 구절들이 또한 조로아스터교의 경전에서 유래되었다. 어떻게 성서와 조로아스터 경전의 이야기들이 꾸란에 나오느냐고 질문을 받으면 통상적인 대답은 “아니다. 그렇지 않다. 이슬람은 다른데서 베껴오지 않았다. 사실상 성서와 조로아스터 경전은 동일한 알라에서 유래되었다. 단지 말하자면 유대인들, 기독교인들, 그리고 다른 종교들이 알라에 의해서 그들에게 보내어진 원본 성서를 왜곡하였고 그러므로 알라가 그것을 천사장 지브레일을 통해서 (새로운 것으로) 예언자 무함마드에게 보냈고 그것이 꾸란이다. 그러므로 꾸란이 유일하고 진정한 성서이며 다른 모든 성서들은 왜곡되었으므로 반드시 버려져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슬람은 존재하는 여러 가지 성서들에서 그것을 종합하고 모든 민간전승들과 이야기들과 아랍신화들을 통합함으로 알라로 부터의 마지막 경전인 꾸란을 만들었다. 여기에다 이슬람은 그 동일한 이슬람 방식에 의하여 다른 사람들의 성서를 자신들의 성서로 만들었다.
무함마드는 자신이 마지막 예언자라고 꾸며내었다. 그는 절대로 히라 언덕 또는 히라 산에서 누구를 만난 적이 없다. 무함마드는 이야기들과 가르침들을 조작하였고 그것들이 알라의 말씀이라고 말하였다. 무함마드는 꾸란을 저작하지 않았다. 무함마드의 알라도 꾸란을 저작하지 않았다. 알라를 꾸란의 저자로 만드는 것은 일천년 이상동안 인류에게 전승되었던 완전한 거짓말이다. 꾸란의 주요 부분은 사실상 상당히 많은 개인들에 의하여 영감 받았거나 저작되었거나 또는 만들어졌다.
그들 가운데 가장 주목할 만한 사람들이다:
Imrul Qays - 무함마드가 태어나기 수 십년 전에 사망한 고대 아라비아의 시인
Zayd b. Amr b. Naufal -Hanifism을 전파하였던 무함마드 시대의 ‘배교자’
Labid -또 다른 시인
Hasan b. Thabit -무함마드의 공식적인 시인
Salman, the Persian -무함마드의 친구이며 조언자
Bahira -시리아 교회의 네스토리안 기독교 수도승
Jabr - 무함마드의 기독교인 이웃
Ibn Qumta -기독교인 노예
Khadijah -무함마드의 첫 부인
Waraqa - Khadijah의 사촌 형제
Ubay b. Ka'b -무함마드의 비서이며 꾸란 기록자
무함마드 자신
관계된 다른 부류도 있었다.
사바인들
Aisha - 무함마드의 어린아이 신부
Abdallah b. Salam b. al-Harith - 이슬람으로 개종한 유대인
Mukhyariq - 이슬람으로 개종한 랍비였던 또 다른 유대인
꾸란을 기록한 존재는 알라가 아니다. 비록 무함마드가 꾸란의 가르침의 많은 부분을 만들었지만 꾸란은 한 실체 또는 한 사람이 만들어낸 것이 아니다. 꾸란의 구절들을 구성하고 기록하고 수정하고 삽입하고 삭제하는데 참여한 몇 가지 분야가 있었다.
꾸란을 만드는데 관여하였던 가장 중요한 사람들은 Imrul Qays, Zayd b. Amr, Hasan b. Thabit, Salman, Bahira, ibn Qumta, Waraqa와 Ubayy b. Ka'b이었다. 무함마드 자신이 제한된 구절들을 만드는데 관여하였지만 이슬람의 태동과 꾸란의 저작에 있어서 무함마드에게 동기를 부여한 가장 영향력 있는 사람은 'Hanifism'을 전파하였던 Zayd b. Amr이다. 무함마드는 나중에 Zayd의 'Hanifism'을 이슬람으로 변화시켰다.
그러므로 이슬람이 새로운 종교가 아니라는 주장은 사실이다. 그러나 중요한 발견은 꾸란이 절대로 알라의 말씀이 아니며 무함마드가 단순히 알라의 마지막 말씀이라고 인간들에게 전했던 인간이 만든 경전이라는 것이다. 이러한 평가에 대한 또 다른 중요한 측면은 꾸란의 저작자들이 섞여 있었던 고대 종교들 가운데 사바인들의 풍습이 절대적이다. 실제로 하루 5번의 기도의식과 30일의 금식(이슬람의 5기둥 가운데 2개)은 사실상 사바인들에게서 받아들인 것이다.
그러므로 꾸란은 무함마드 당시에 존재하였던 여러 가지 종교 경전들을 편집한 것이다. 알라가 아닌 무함마드가 단순히 여러 가지 자료에서 채택하고 고르고 선택하여 꾸란을 만들었다. 쉽게 말하자면 많은 분파들이 꾸란을 만드는데 기여하였고 무함마드는 그것의 주된 편집자가 되었다. 이제까지 설명하였듯이 꾸란은 철저하게 사악한 전체주의이며 이슬람은 무함마드에 의하여 태동되었다. 무함마드가 하나님 알라(ANTI GOD)에 관한 자기 자신의 버전(무함마드와 알라는 하나이며 동일하다는 것)을 만든 것은 “알라와 그의 사도” 그리고 또 “사도와 그의 알라”라는 형태로 나타났다. 무함마드는 하나님이 되었고 하나님은 무함마드가 되었다.
원문출처: Islam evil in the name of God. 551~553page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